요즘 사람들은 기대수명이 점점 늘어나는 만큼 노후에 대한 걱정도 늘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은퇴를 앞둔 분들은 노후 자금을 얼마나 준비해야 충분할지 알 수 없어 불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각자 생각하는 은퇴 후의 거주 형태나 생활 방식에 따라 필요한 생활비에 차이가 있기 마련이지만, 미리 은퇴 자금을 계산해 보는 것은 중요합니다.
은퇴 후 생활비를 정하는 기준
은퇴 자금을 계산하는 데 앞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은퇴 후 생활비를 예측해 보는 것입니다. 생활비는 소득 수준과 생활 방식에 따라 개인별로 많은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생활비를 계산해 보기 위해서는 필요한 생활비 규모를 정하는 기준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생활비 규모를 정하는 방법은 아래 4가지가 있는데, 자신에게 적합한 방법을 선택해서 연간 생활비를 산출해 보면 됩니다.
- 은퇴 이전 생활비의 일정 비율(70 ~ 80%)을 생활비로 정할 수 있습니다.
- 은퇴 이전 소득의 일정 비율(70 ~ 80%)을 생활비로 정할 수 있습니다.
-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전국 노인가구 평균생활비(최저 생활비 또는 적정 생활비)를 기준으로 정할 수 있습니다.
- 자신의 은퇴 후 생활 방식을 정하고 그에 맞춰 생활비를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추가로, 위 방법으로 연간 생활비를 계산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바로 의료비와 간병비를 반영하는 것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생활비는 감소하지만 의료비와 간병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절대로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또한, 자녀 결혼 비용 등 목돈이 필요한 경우는 별도로 계산하여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은퇴 자금 계산 방법
여기서는 위 4가지 방법 중 첫 번째 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은퇴 자금을 계산해 보려고 합니다. 계산을 위한 기본 전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 노후 생활비는 은퇴 전 생활비의 80% 정도임
- 70세까지는 노후 생활비의 100%, 70~80세에는 70%, 80세 이후에는 의료비 및 간병비 증가를 고려하여 80%가 필요
위 기본 전제에 따라, 필요한 은퇴 자금을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연간 노후 생활비 = 현재(은퇴 전) 월평균 생활비 × 0.8 × 12
- 은퇴 자금 = 연간 노후 생활비 x (70세 - 은퇴나이) + 연간 노후 생활비 x 0.7 x 10(70~80세 기간 10년) + 연간 노후 생활비 x 0.8 x (예상수명 - 80세)
각자의 조건에 따라 변형하여 계산해 보기
위는 가장 기본적인 은퇴 자금 계산 방법의 예를 든 것입니다. 단순한 계산 방법이지만 은퇴 전에 얼마만큼의 자금을 준비해야 하는지를 미리 가늠해 보는 데는 효과적입니다.
소개드린 내용을 참고하셔서, 각자 본인에게 맞게 변형하여 계산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은퇴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년 수면장애 및 불면증 발생 이유 (ft. 셀프 체크리스트) (0) | 2023.01.16 |
---|---|
부부간 증여 시 꼭 알아야 할 4가지 (0) | 2023.01.15 |
은퇴 후 창업, 현직에서 아이템 찾고 준비하는 법 (0) | 2023.01.13 |
노인장기요양 등급 신청 방법 및 혜택 총정리 (0) | 2023.01.10 |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 3가지 핵심 요약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