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입자가 원하는 것을 이해하기
이 글을 읽으시는 당신은 혹시 이전에 세입자였던 적이 있으셨나요? 세입자가 가장 원하는 것은 주변 환경이 우수한 곳에 월세가 저렴하면서도 깨끗한 곳입니다. 물론 좋은 곳은 싸지 않고, 맘에 드는 곳은 월세가 높은 것이 현실입니다. 반면, 세를 놓는 임대 부동산 주인의 입장에서는 공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우선입니다. 월세를 조금 높게 받는다고 해도 공실로 손해를 보는 게 더 큽니다. 단순히 월세를 낮게 내놓는다고 해서 세가 잘 나가는 것은 아닙니다. 소위 가성비가 중요합니다. 세입자 입장에서 봤을 때 다른 곳 대비 나의 부동산이 같은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더 좋은 조건인지를 따져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세입자 입장에서 좋은 조건, 즉 세입자에게 인기가 있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방법들을 소개해 보려 합니다.
간단하지만 중요한 임대 부동산 관리 방법
세입자에게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청결한 부동산입니다. 실내뿐만 아니라 건물의 복도부터 외관까지 깨끗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청결한 관리를 위해 손쉬우면서도 꼭 지켜야 할 것은 우선 건물 입구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입구는 첫인상을 결정합니다. 그런데 입구 바닥이 지저분하고, 쓰레기가 떨어져 있다면 아무리 실내를 깨끗하게 해도 나의 임대 부동산에 대한 인식은 이미 나빠져 있을 것입니다. 또한 복도나 실내 구석에 거미줄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는 게 필요합니다. 특히 여름에는 거미들이 왕성하게 활동하는 시기이므로 자주 살펴보고 제거를 해주어야 합니다. 사람이 많이 다니지 않는 곳이나 구석진 곳이라고 해서 대충 해서는 안 됩니다. 세입자가 우연히 거미줄을 발견하게 되면 건물의 청결 관리가 잘 안 되고 있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또 하나 간단하지만 지켜야 할 것은 지저분한 광고물 또는 우편물을 정리하는 것입니다. 간혹 이전 세입자들 이름으로 잘못된 우편물이 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우편물은 반송함에 잘 정리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광고물이 우편함에 많이 붙어있는데, 수시로 수거해서 청결한 우편함으로 관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중요한 것이 하나 더 있습니다. 새로운 세입자를 받기 위해 공인중개사에 의뢰할 때는 항상 방을 깨끗하게 새로 도배하고 청소한 상태에서 소개해야 합니다. 이것은 공인중개사에게도 좋은 인상을 주어 공인중개사가 우선하여 나의 부동산을 임대 놓으려 하게 만들 것입니다. 벽지는 가능한 하얀색이나 밝은 계통의 색으로 선택하는 게 좋습니다. 실내가 깨끗하고 넓게 보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혹시 집을 너무 하얀색으로만 꾸며서 밋밋하다는 느낌이 들면, 특정한 곳의 벽면은 포인트 색상으로 해도 좋을 것입니다.
주변 공인중개사와 좋은 관계 만들기
새로운 임대 부동산을 찾는 사람들을 가장 먼저 만나는 사람은 공인중개사입니다. 그래서 공인중개사들과 좋은 관계를 만들어 두는 것은 나의 부동산을 세입자들에게 인기 있게 만드는 좋은 방법의 하나입니다. 수익형 부동산을 세입자에게 임대로 주고 운영하다 보면 생각보다 신경을 써야 할 것들이 많이 생깁니다. 이런 경우 주인이 가능한 빨리 확인하고 조치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주인이 임대를 준 부동산 근처에 살고 있다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곤란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동네에 친하고 믿을만한 공인중개사가 있다면 부탁을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수익형 부동산 주인들이 주변 공인중개사를 통해서 관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꼭 믿을만한 공인중개사를 찾아서 친해지시길 바랍니다. 새로운 세입자를 구할 때도 해당 공인중개사를 통해서 우선 진행하고, 중개가 성사되었을 때는 절대로 중개수수료를 깎으려 하지 말아야 합니다. 혹시라도 다른 공인중개사를 통해 거래를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면 미리 양해를 구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명절에는 공인중개사에게 작은 선물을 하는 것도 좋습니다. 선물은 오히려 중개수수료보다도 공인중개사를 기분 좋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은퇴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퇴 전 반드시 준비해야 할 8가지 (0) | 2022.10.12 |
---|---|
파랑새 증후군에 관하여 (ft. 퇴사 후 현실) (0) | 2022.10.11 |
안전한 가을 산행 및 단풍놀이를 위해 준비할 것 6가지 (0) | 2022.10.09 |
40대 50대가 걷기 운동할 때 유의할 점 (0) | 2022.10.08 |
액티브 시니어가 되기 위한 5가지 조건 (0) | 2022.10.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