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은퇴 준비

퇴직금 중간정산 포함 퇴직소득세 계산시 참고 사항

by &☆★→◑ 2024. 11. 17.
반응형

최근 우리나라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가 봅니다. 연말이 다가오면서 여기저기서 희망퇴직 뉴스가 들려옵니다. 물론 정년을 채우고 퇴직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회사의 어려운 상황, 또 개인적인 상황을 고려했을 때 퇴직 위로금을 좀 많이 받을 수 있다면 조기에 퇴직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퇴직소득세 계산 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사항들

  • 퇴직소득세는 근속연수와 퇴직금만 알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퇴직금에는 법정 퇴직금뿐만 아니라, 퇴직 위로금도 모두 퇴직소득에 포함됩니다. 
  • 퇴직소득은 다른 소득과 합산하지 않고 분류과세 합니다.
  • 근속연수공제(근속기간에 비례해 퇴직소득의 일정 부분을 공제해 주는 제도)를 적용해 장기근속자의 세부담을 덜어주고 있습니다.
  • 퇴직소득세는 연분연승 방법으로 세금을 산출합니다. 먼저 퇴직급여를 근속연수로 나누어 1년 치 소득으로 만들고, 여기에 소득세율을 적용해 세금을 산출합니다. 그런 다음 다시 근속연수를 곱해 납부할 총세금을 산출합니다. 즉, 연분연승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낮은 세율이 적용돼 세부담을 크게 덜 수 있습니다.

 

2023년 이후 퇴직자부터는 근속연수공제가 확대됩니다

2023년부터 근속연수공제가 크게 확대되면서 퇴직자의 세부담이 많이 줄어듭니다. 그렇다면, 퇴직소득세 부담은 얼마나 줄어들까요?  예를 들어, 한 직장에서 20년간 일하고 퇴직하는 근로자가 2023년 전 퇴직했다면 1200만 원을 공제받았지만 2023년 이후부터는 4000만 원을 공제받게 됩니다.

* 출처 : 미래에셋증권

 

중간정산 퇴직금과 최종 퇴직금을 합산하면 세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퇴직금을 중간정산(중도인출)하면 그 시점에 퇴직하는 것으로 보고 퇴직소득세를 부과합니다. 따라서 2022년 전에 퇴직금을 중간정산했다면 종전 세법에 따라 퇴직소득세를 납부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퇴직소득 정산 특례를 활용하면 퇴직할 때 과거에 중간정산받은 퇴직금과 최종 퇴직금을 합산해서 퇴직소득 세액을 정산해 달라고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중간정산을 한 분들도 근속연수 공제 확대에 따른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됩니다.

출처: 미래에셋증권

 

예를 들어 A 씨는 2021년 3월 퇴직금을 중간정산해서 3억 원을 수령했다. 중간정산 당시 A 씨의 근속연수는 20년이었고 퇴직소득세로 2490만 원을 납부했습니다. 그 후 A 씨가 2년을 더 일하고 퇴직급여로 2000만 원을 수령하면 퇴직소득세로 94만 원을 납부해야 합니다. 즉, 중간정산 때 냈던 세금과 합치면 A 씨는 총 2584만 원을 퇴직소득세로 납부한 셈입니다.

하지만, 만약 A 씨가 중간정산 때 받은 퇴직급여와 이번에 퇴직하면서 받는 퇴직급여를 합산해서 퇴직소득세를 산출하면 어떻게 될까요? 이 경우 A 씨의 근속연수는 22년이 되고, 퇴직급여로 3억 2000만 원을 수령한 것으로 보아 퇴직소득세를 산출하면 2009만 원이 됩니다. 따라서, A 씨는 2년 전 중간정산 때 2490만 원의 퇴직소득세를 납부했기 때문에 이번에 퇴직하면서 481만 원의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게 됩니다.

 

퇴직소득세를 줄이려면 일시불 보다 연금으로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퇴직금을 받으실 때 일반 계좌로 퇴직금을 수령하시면 정해진 퇴직소득세만 전액 납부하시면 일시불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국가에서는 퇴직금을 일시불로 받으시는 것보다 연금으로 받으시는 걸 더 장려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퇴직금을 연금으로 받으시게 되면, 퇴직소득세를 할인해 주는 제도를 운영 중입니다.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퇴직금을 IRP 계좌로 수령하여 받으셔야 됩니다. 
  • 55세 이후에 연금으로 받으셔야 됩니다. 
  • 연간 연금 수령 한도가 있습니다. 

 

위 조건을 모두 만족하게 되면 퇴직소득세에서 30%를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여기서 여러분들이 가장 명심해야 될 포인트는 바로 연금 수령 한도 내에서 수령하는 점입니다.

 

퇴직연금은 연금으로 수령할 수 있는 연간 한도가 정해져 있고, 그 한도 내에서 수령하시게 되면 퇴직소득세의 30%를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는 30% 할인 혜택을 받을 수는 없습니다. 퇴직소득세율에 따른 세금 전액을 납부하셔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퇴직소득세 전반에 대해 꼭 알아야 할 사항과 퇴직금을 중간 정산받으신 분이 참고해야 하실 사항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조기 퇴직, 명예퇴직, 희망퇴직을 앞두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