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은퇴 준비

귀농귀촌 미리 체험해볼까? (ft.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

by &☆★→◑ 2023. 7. 17.
반응형

은퇴를 앞둔 많은 분들이 귀농귀촌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귀농귀촌은 삶의 터전을 옮기는 일인 만큼 쉽게 결정할 일이 아닙니다. 또한, 막상 결심을 했다고 하더라도 준비를 하려면 무엇부터 해야 할지도 막막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데, 만약 미리 귀농귀촌을 체험해 볼 수 있다면 어떨까요? 그래서 오늘은 '농촌에서 살아보기'라는 프로그램을 소개드릴까 합니다.

빨간 사과가 가득담긴 바구니와 주변의 사과 나무들

1. 귀농귀촌 통합 플랫폼 '그린대로' 소개

'그린대로'는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귀농귀촌 종합센터)이 운영하는 귀농귀촌 사이트로서,  2023년 7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중에 하나로 '농촌에서 살아보기'라는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귀농귀촌 가이드 : 귀농귀촌 절차 안내 및 자가진단, 알림 소식 및 관련 자료실
  • 귀농귀촌 종합정보 : 귀농귀촌 정책 등 관련 정보를 제공
  • 귀농귀촌 교육 체험 안내 및 신청 : 온오프라인 교육 안내 및 신청, 농촌에서 살아보기 등 체험 프로그램 안내
  • 지방자치단체 귀농귀촌 안내 : 지자체의 귀농귀촌 관련 정보 제공
  • 귀농귀촌 커뮤니티 서비스
  • 귀농귀촌 현장의 달인 : 분야별 지식인 및 선배와 1:1 질문 및 답변
  • 동네작가 : 마을별로 선정된 동내작가가 마을의 가치를 공유

 

귀농귀촌 통합 플랫폼 '그린대로' 바로가기 : https://www.greendaero.go.kr/

 

2.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 소개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은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에게 농촌에서 직접 거주하며 농촌생활과 일자리 등을 체험하고 주민들과의 교류 기회를 제공하여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귀농귀촌을 꿈꾸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연한 도시민들에게는 정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입니다.

 

1) 프로그램의 유형

프로그램은 여러 유형이 있는데 크게 귀농형, 귀촌형, 프로젝트 참여형으로 구분되며, 각 유형별로 일반과 특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자세한 유형별 소개는 아래에 안내드린 사이트에 직접 방문하셔서 확인해 보세요.

2) 참가대상

타 시 지역 거주 도시민으로 만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3) 프로그램 제공 주요 내용

농촌이해, 체험

귀농귀촌을 이해하기 위한 교육, 영농기술 교육, 우수농장 현장견학 및 체험, 귀촌인 정착 우수사례 견학, 농산업 창업 우수사례 견학, 기타 현장견학을 제공합니다.

 

농업농촌 일자리 체험 (근로수당 지급)

일정 수당을 받고 실제 농작업 근로를 해볼 수 있습니다. 농촌 단기 일자리 혹은 체험마을의 행사를 지원하는 형태가 가능합니다.

 

지역탐색 등 기타

시 군 귀농 정책과 마을의 문화, 관광 탐방을 할 수 있습니다.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 바로가기 : https://www.greendaero.go.kr/svc/rfph/edc/live/front/program.do

 

3.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 신청 방법

프로그램 신청은 '그린대로' 사이트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의 절차를 참고하셔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1) 신청서 제출

귀농귀촌종합센터 그린대로(www.greendaero.go.kr) 접속 > 로그인 > 교육·체험 > 살아보기 > 신청하기 > 신청서 작성 > 서약 및 동의 > 신청서 미리 보기 > 신청서 제출

2) 참가자 선정

참가자는 운영자가 유선 또는 영상 등의 방법으로 면접 후 선정합니다. 선정된 분께는 선정 알림 문자를 보냅니다.

3) 프로그램 참가

프로그램의 일정에 따라 입소하면 오리엔테이션을 받고, 이후 월 15일간 운영자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합니다. 참가기간 동안 커뮤니티를 통해 체험한 내용 및 정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4) 만족도 조사 참여

프로그램을 마치면 만족도 조사에 참여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