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 이상이 되어 건강검진을 받게 되면 고지혈증 진단을 받는 분들을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고지혈증은 성인병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질병이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일찍부터 관리하는 게 필요합니다.
고지혈증이란
고지혈증의 정확한 병명은 '이상지질혈증'입니다. 즉 혈액 속에 지방 성분이 많은 것인데, 지방 성분 중 L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중 한 가지 혹은 모두가 수치가 높을 경우 이상지질혈증으로 분류합니다.
혈액 지방성분 구분 | 수치가 높은 경우 이상지질혈증으로 판단 |
|
콜레스테롤 | LDL (저비중지단백) | O |
HDL (고비중지단백) | ||
중성지방 | O |
고지혈증 있는 분이 지켜야 할 3가지
1. 고탄수화물(밥, 빵, 면, 떡) 식사는 최대한 줄여야 합니다.
고지혈증은 나쁜 지방을 섭취해서 생기는 경우도 있지만, 특히 한국인들은 탄수화물이 많은 식사로 인해 생기는 경우가 더욱 많다고 합니다. 우리 몸은 섭취한 탄수화물을 포도당으로 전환하여 에너지로 쓰고, 남은 것은 중성지방으로 저장하게 됩니다. 즉 과도한 탄수화물은 고혈당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지방의 형태로 저장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고지혈증이 있는 분들은 밥, 빵, 면, 떡을 먹는 것을 줄이셔야 합니다.
2. 유산소 운동과 함께 근력운동을 해야 합니다.
인슐린은 혈중 포도당을 근육과 세포 안으로 끌고 들어가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입니다. 그런데 근육과 세포에서 인슐린을 받아들이는 수용체가 망가져서 포도당을 못 받아들이는 상태가 되면 포도당은 그대로 혈액 속에 쌓이게 되고 이 고혈당 상태의 혈액은 간으로 흘러 들어가면서 지방으로 저장되게 됩니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결국 당뇨로도 발전하게 됩니다. 이렇게 인슐린이 있어도 세포에서 인슐린을 못 받아들이는 것을 인슐린 저항성이라고 합니다. 인슐린 저항성을 키우지 않기 위해서는 포도당이 흘러 들어갈 수 있는 근육이 충분해야 합니다. 따라서, 유산소 운동과 함께 적절한 근육운동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3. 혈당 조절을 위한 식사를 해야 합니다.
혈당을 급격하게 높이는 음식을 자꾸 먹으면 고혈당 폭격을 맞으면서 인슐린 수용체가 망가지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혈당을 천천히 올리는 음식을 드시는 게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정제되거나 가공되지 않은 음식들이 해당되며, 아래 대표적인 음식들을 참고해 주세요.
▶ 혈당을 급격히 올리는 대표적인 음식들
설탕, 식빵, 초콜릿, 벌꿀, 찹쌀떡, 도넛, 감자튀김, 떡, 가락국수, 백미, 딸기잼, 쿠키, 옥수수, 콘프레이크, 시럽 등
▶ 혈당을 천천히 올리는 대표적인 음식들
보리, 통밀빵, 마늘,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굴, 우엉, 양파, 사과, 배, 블루베리, 토마토, 송이버섯 등
먹는 음식을 조심하는 것과 함께 먹는 방법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식사를 할 때 가능하면 채소, 단백질, 탄수화물 순으로 먹는 것을 권장드립니다.예를 들면 상추, 토마토, 브로콜리 같은 채소를 먼저 드시거나, 국이 있다면 국 안에 있는 콩나물이나 우거지 같은 것을 먼저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후 두부, 계란, 콩 같은 단백질을 드시고, 마지막에 탄수화물을 먹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빈 속에 탄수화물이 들어오는 것을 예방하면 혈당이 급격하게 오르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은퇴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퇴자에게 부동산 월세보다 배당이 좋은 이유 (0) | 2023.03.01 |
---|---|
치아보험에 가입할 때 고려해야 할 점 5가지 (0) | 2023.02.27 |
연금 수령 시 세금, 요약정리 및 절세 Tip (0) | 2023.01.19 |
은퇴 후 고정수입 종류 (0) | 2023.01.18 |
중년 수면장애 및 불면증 발생 이유 (ft. 셀프 체크리스트) (0) | 2023.01.16 |
댓글